취업생에게 전해주는 직업전망

취업생에게 전해주는 직업전망

취업생들이 궁금해하는 직장, 직업에 대한 모든 정보, 이직을 한다면 어디로 할까?

작물재배종사자

yohan1002@gmail.com
직업전망

일자리 전망

[ 농산물 수출입 동향 ]                                                                                               
연도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수출 2,991 3,722 4,941 4,785 4,741 5,224 5,221 5,581 6,047
수입 11,754 13,988 18,362 18,717 19,106 19,308 17,902 17,666 18,592
무역수지 -8,763 -10,266 -13,421 -13,932 -14,365 -14,084 -12,681 -12,085 -12,545 
자료 : 농수산물유통공사(2019). 농림축산식품 수출입동향

농산물 수출 규모와 수입 규모의 차이는 2009년 8,763백만 달러에서 2017년 12.545백만 달러로 심화되고 있어, 우리나라에서 소비되는 농산물의 상당비율이 수입농산물로 대체되고 있다. 그리고 2016년 9월에 시행된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일명, 김영란법)은 선물용 수요의 감소로 원예작물재배원과 과수작물재배원의 일자리에 부정적일 것이다. 이상과 같은 농업경쟁력의 약화 외에 도시와 농촌 간의 소득격차 확대,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환경 악화 등은 청년층의 이농(도시 전출)을 부추기고 있다. 40대 이하 농업 인력은 계속 감소하는 반면에, 농가인구 중 65세 이상 구성비는 2010년 31.8%에서 2020년 41.6%, 2030년에는 50.5%로 증가 하여 고령자의 탈농(영농 포기)이 증가할 전망이다. 그러나 농업은 식량안보 차원에서 중요하기 때문에 정책적 지원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국민의 친환경·유기농 농산물 및 웰빙에 대한 관심 및 수요 증가에 힘입어 정부와 관련 업계는 식품산업 및 바이오식의약품 산업의 육성, 특용작물, 열대작물 등 새로운 작물 및 품종의 개발 및 보급, 농촌체험관광사업의 활성화 등을 통해 농촌경제의 활성화와 농촌인구 유입에 노력을 기울 이고 있다. 또한 도시농업의 보급 확산, 정밀농업의 도입 등은 향후 작물재배 인력의 증가를 가져 오는 요인이 될 것이다. 귀농인구도 2013년 17,318명에서 2017년 19,630명으로 증가하고 있다 (통계청, 「2017 귀농어·귀촌인 통계」). 최근에 각광을 받고 있는 스마트팜의 개발 및 보급도 농업 종사자의 고용 전망에 중요한 영향 요인이 되고 있다. 스마트팜은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하여 농작물 재배 시설의 온도·습도·일조량· 이산화탄소·토양 등을 자동으로 분석하고 제어할 수 있는 장치와 시설을 갖춘 최첨단 농장이다. 스마트팜은 고용 전망에 있어 양측면을 가지고 있는데, 고령자의 영농을 용이하게 하고 청년층의 유입을 촉진하는 요인이 되는 한편 적은 인력으로 농업 생산이 가능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농업 발전과 농촌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농업 경쟁력을 높이지 못하고 농촌의 고령화와 청년층의 감소가 계속된다면, 농업 인구의 감소를 막지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

종사현황

종사현황


곡식작물 재배원은 남성이 여성보다 다소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60대 이상 근로자의 비율이 높다. 학력은 고졸이하인 경우가 많다.

채소 및 특용작물 재배원은 여성이 남성보다 다소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60대 이상 근로 자의 비율이 높다. 학력은 고졸이하인 경우가 많으며, 종사자의 임금 중앙값은 월 120만 원으로 나타났다.

과수작물 재배원은 남성이 여성보다 다소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60대 이상 근로자의 비율이 높다. 학력은 고졸이하인 경우가 많다.

원예작물 재배원은 남성이 여성보다 다소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60대 이상 근로자의 비율이 높다. 학력은 고졸이하인 경우가 많으며, 종사자의 임금 중앙값은 월 150만 원으로 나타났다.

하는일/근무환경

하는 일

재배하는 품목에 따라 곡식작물 재배원, 채소 및 특용작물 재배원, 과수작물 재배원, 원예작물 재배원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작물재배는 토지, 노동력, 기후조건 등을 고려하여 재배품목을 선정하는 일에서부터 시작된다. 재배품목이 결정되면 종자나 묘목을 구입하여 파종을 한다. 작물에 비료를 뿌리고 제초 작업을 하며, 농약살포 등 병충해 방제를 위한 여러 작업을 한다. 수확기에 접어든 작물은 때를 놓치지 않고 적당한 시기에 수확해야 하며 작물에 따라 건조, 가공 등의 과정을 거친다. 일부 농작물은 비닐하우스를 설치하여 재배하며, 보일러 등을 가동하여 적정 온도를 유지시키기도 한다. 포도, 배, 사과, 복숭아 등 과일을 재배하는 경우에는 과일이 열릴 때쯤 종이봉지로 과일을 하나씩 싸서 병충해나 조류로부터 보호한다. 수확된 농작물은 일정한 온도를 유지시켜주는 마을 공동저장소 등을 활용하여 보관하고, 출하할 때까지 해충, 기후변화 등으로 농작물이 상하지 않도록 보호한다. 보관이 끝나서 출하할 때는 포장작업을 하기도 한다. 농작물 재배 외에 수확한 농작물을 직접 판매하기도 한다. 전자상거래를 통한 농작물 직거래를 위해 인터넷쇼핑몰을 구축하여 재배한 농작물을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사업을 병행하기도 한다.

근무환경

야외작업이 많아 더위나 추위 등 날씨에 영향을 받으며 일하는 경우가 많다. 작업 시간은 계절에 따라 다르며 농번기에는 이른 아침부터 밤까지 장시간 일을 할 때가 많다. 홍수나 가뭄, 태풍 등 악천후에는 어려운 환경 속에서 긴급한 작업을 해야 한다. 요즘은 허리를 굽혀 일하는 등의 육체 활동보다는 트랙터, 콤바인 등 각종 농업기계를 활용하여 일하는 비중이 크다. 또한 자동화설비가 갖춰진 농업시설에서 일하는 경우, 육체적 부담이 크게 줄어들었고 근무시간도 일정하다.

교육/훈련/자격 / 적성 및 흥미

농업에 종사하기 위해서는 농작물 재배법, 농기계 사용법 등을 알고 있어야 하므로 농업계 특성화 고등학교의 관련 학과를 졸업하는 것이 유리하다. 해당 학교의 농업기계과, 농업유통정보과 등에 서는 농업 전반에 대한 교육을 비롯하여 농업정보화 환경을 위한 전산 관련 교육을 실시한다. 최근에는 농촌에 정착하여 농업에 종사하려는 도시인을 위해 정부(농림축산식품부 및 지방자치 단체)나 사회단체에서 다양한 귀농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작물재배 종사자는 자신 소유 혹은 임차한 논과 밭을 전업으로 혹은 겸업으로 경작하거나, 법인 소유의 농장에 취업하기도 한다. 다른 직업을 갖기 위해 농촌을 떠나 도시로 가는 사람들 외에는 농업에 전념하다가 고령화로 자연 은퇴하는 경우가 많다. 요즘은 열대과일이나 특용작물을 재배하거나 직거래 농산물매장 또는 인터넷쇼핑몰을 창업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농촌체험관광업이나 농산물가공업을 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 관련 학과: 농업학과, 원예학과, 농업경영과, 작물생산공학전공, 농업유통정보과 등

■ 관련 자격: 유기농농업기사/산업기사/기능사, 종자기술사/기사/산업기사/기능사, 원예기능사, 시설원예기술사/기사, 농기계정비기능사, 농업기계기사/산업기사(이상 한국산업인력공단)

적성 및 흥미

야외에서 육체적 활동이 많고 생명을 키우는 것이기 때문에 건강한 신체와 인내심, 성실함이 요구된다. 무엇보다 자연 속에서 생명을 다루고 활동하는 것을 좋아하는 성격이 필요하다. 재배할 작물 선택, 농산물 유통 등에 관련된 지식이 필요하다. 요즘은 농업용 기계와 설비를 사용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농기계 사용법과 간단한 고장의 수리법을 알고 있어야 한다.

관련직업
  • 곡식작물재배자
  • 채소작물재배자
  • 과수작물재배자
  • 특용작물재배자
  • 농림어업단순종사원
관련정보처

직업전망 데이터는 워크넷(www.work.go.kr)을 통해 제공됩니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워크넷 직업/진로 정보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