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생에게 전해주는 직업전망

취업생에게 전해주는 직업전망

취업생들이 궁금해하는 직장, 직업에 대한 모든 정보, 이직을 한다면 어디로 할까?

기계공학기술자

yohan1002@gmail.com
직업전망

일자리 전망

향후 10년간 기계공학기술자의 취업자 수는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6~2026 중장기 인력수급전망」(한국고용정보원, 2017)에 따르면 기계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은 2016년 약 108.6천 명에서 2026년 약 117.1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약 8.5천 명(연평균 0.8%) 정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통계청의 「전국사업체조사(2017)」에 따르면 기계산업 종사자 수는 2006년 82만1천여 명에서 2016년 110만3천여 명, 사업체 수는 2006년 4만8천여 개에서 2016년 7만7천여 개로 10년 동안 각각 약 1.3배, 1.6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기계산업의 종사자 및 사업체 현황 ]                                                                        
연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사업체 수
48,595 49,610 46,473 46,626 50,242 54,673 59,064 62,879 70,296 76,347 77,383
종사자 수
821,284 852,307 841,973 837,985 895,208 961,400 996,299 1,042,854 1,092,426 1,115,186 1,103,412
자료 : 통계청, 전국사업체조사 주 : 기 계산업에는 의료·정밀·광학기기 및 시계 제조업,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포함

또한 지난 10년간의 지속적인 종사자 수 및 사업체 증가 등 기계산업의 전반적인 증가에도 불구 하고 향후 기계공학기술자의 고용전망은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기계산업은 기본적 으로 모든 산업에 생산설비를 공급하며 그것이 생산제품의 품질을 결정한다는 점에서 제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산업이자 뿌리산업에 해당한다. 상대적으로 인구구조와 노동인구 변화라는 요소를 감안하면 출산율 감소로 인해 대학입학자원이 점차 줄고 있다. 2018년부터 고교 졸업자 수가 대입정원보다 적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이런 현상은 점차 커질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대입정원의 감소는 경쟁력 없는 대학의 구조조정으로 이어질 것이며 이는 결국 대학 교원 등의 교육인력 감소로 이어질 것으로 판단된다.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각종 생산시설 자동화와 맞물려 이러한 자동화 시설을 개발하거나 운영/ 관리하기 위한 기계공학기술자의 고용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로봇의 형태는 아니지만 자동화 설비도 로봇의 하나로 볼 수 있으며 자동화설비 컨설팅분야, 설계분야 관련 고용이 늘 수 있다. 기업의 전반적인 경영전략 변화로 인해 해외 공장 이전이 확대되고, 해외공장 이전으로 인한 고용이 감소할 수 있다. 기계공학기술자는 고급인력이므로 기업의 프로젝트 감소로 인한 고용불안 요소는 없을 것으로 보이며 연구개발 분야에서 꾸준히 고용될 것으로 보인다. 4차 산업혁명의 확장으로 협동로봇 등의 산업용 로봇 등이 크게 늘고 있으며 국내에도 이러한 로봇을 생산하는 업체가 3~4개 만들어졌다. 전기자동차, 자율주행자동차가 내연기관자동차를 대체할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경우 기존 자동차 산업에 비해 기계적 분야가 차지하는 비율이 줄 것으로 보여 기계공학자 고용에는 다소 불리할 수 있다. 기계 융복합 분야로 진출이 활발해질 것으로 보인다. 3D프린팅에서 프린터의 기구 개발, 적층기술 등은 기계공학기술자의 분야이므로 해당 인력의 일자리 창출은 긍정적이다. 마지막으로 환경과 에너지 분야를 고려할 때 친환경 에너지와 에너지 절감이 강화되면서 친환경 발전 등 탈원전 등으로 인해 신재생 발전 및 에너지 절감 기술이 늘수록 해당 인력의 고용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종사현황

종사현황


기계공학 기술자는 남성비율(87.5%)이 높으며 연령별로 30~40대에 주로 분포되어 있다. 학력별로 볼 때 대졸의 비율(60.8%)이 높은 편이며 종사자의 임금 중앙값은 월 500만 원으로 나타났다.
하는일/근무환경

하는 일

기계공학기술자는 기계공학의 원리를 응용하여 산업생산설비의 설계·제조·운영 및 관리를 담당 하고 제품제조에 필요한 기계장치와 산업설비를 연구·개발·운용한다. 기계가공을 위한 공작기계, 각종 운송기계 등 산업용 기계 및 각 산업분야의 생산을 위한 각종 설비를 설계·제조하며, 생산 공정 및 생산 제품을 검사하거나 감독한다. 기계공학기술자의 활동 분야는 매우 넓다. 산업용 설비·플랜트, 공작기계, 각종 제품 생산을 위한 일반기계, 전력생산·이송을 위한 전기기계, 광학기기 등의 정밀기계, 자동차·항공기·기차·선박 등의 수송용 기계, 건설기계, 의료장비 및 기구, 군사 무기, 냉난방시설이나 공기조화시설 등의 건축설비, 사무용기기 등의 전통적 기계분야 외에도 로봇공학, 마이크로기계공학, 지능화기계공학, 바이오 및 신에너지기계공학 등의 첨단기술 분야를 망라하여 산업 전반에 걸쳐 활동하고 있다. 대표적인 기계공학기술자에는 조선공학기술자, 항공공학기술자, 철도차량공학기술자, 자동차 공학기술자, 플랜트공학기술자, 산업기계공학기술자, 메카트로닉스기술자 등이 포함된다. 조선공학기술자는 조선 및 해양플랜트 건조 분야에서 연구·설계·제작 관련 일을 한다. 각종 선박 에서부터 해저자원의 탐사 및 채굴을 위한 해양구조물 등을 제작한다. 항공공학기술자는 항공기나 헬리콥터, 로켓, 우주선, 인공위성 등과 같은 비행체를 연구·개발하고 설계·제작한다. 기존 비행체의 성능 개선뿐 아니라 미래의 비행체 개발을 위한 연구와 개발업무를 수행하기도 한다. 철도차량공학기술자는 각종 철도차량과 철도차량의 엔진 및 부품을 설계·제작한다. 자동차공학기술자는 자동차 차체와 엔진, 변속기 및 각종 부품에 대한 설계와 제작을 담당하고, 각 부품의 최적화 작동에 대한 연구를 한다. 또 자동차의 성능과 내구성 및 안전성 향상, 배출가스의 저감, 연비 개선 등에 대한 연구와 차량개발·설계 업무를 수행한다. 플랜트공학기술자는 정유공장이나 화학공장, 발전소, 소각처리장 및 해양플랜트 등과 같은 대규모 설비나 공장을 설계·시공·감리한다. 기존 플랜트에 대한 안전성 검사 및 운영 효율성을 관리·개선 하거나 해양 등 험난한 지역의 새로운 플랜트를 설계·시공·운영한다. 산업기계공학기술자는 농업, 광업, 제조업, 건설업 등 개별 산업분야에서 사용되는 각종 기계 및 설비, 공구에 대해 연구·개발과 설계를 하고, 산업기계의 제작 및 유지·보수하는 일을 기획하고 관리한다. 메카트로닉스기술자는 컴퓨터를 활용한 생산 공정 및 생산시설의 자동화를 위해 각종 시스템 제어 및 자동화 기술을 연구·개발·설계한다. 기계산업과 전자 및 정보통신 산업의 융합을 통해 각종 생산설비의 고성능화, 자동화, 무인화를 선도한다고 할 수 있다.

근무환경

기계공학기술자는 각종 기계제품에 대한 설계, 제작, 연구개발 업무를 수행하기 때문에 설계사무실이나 연구실험실, 생산공정 관리실 등에서 일한다. 생산현장에서 기계제품에 대한 검사 및 공정관리, 산업설비 운용 업무를 하기도 한다.

교육/훈련/자격 / 적성 및 흥미

전문대학 및 대학에서 기계공학, 기계설계공학, 생산기계공학 및 정밀기계공학 등의 일반기계 공학을 전공하거나 자동차공학, 항공우주공학, 조선공학 및 철도공학과 같은 제품 분야별로 전공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로봇공학이나 메카트로닉스공학, 자동화공학 등 타 학문과 융복합된 학과를 전공하는 경우도 많다. 연구·개발 업무나 고급설계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대학원 석·박사 과정에 진학하여 더 전문 적인 지식을 습득해야 한다. 유체 및 열공학, 소성 등의 가공공학, 에너지 및 재료공학, 동역학 및 제어공학 등 기계공학적 원리와 적용에 대한 이론적 지식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최근 기계제품이 전기·전자 기술과 접목되고 자동화됨에 따라 전기 및 전자에 대한 기본지식과 함께 자동화에 대한 지식도 필요하다.

■ 관련 학과: 기계공학과, 기계설계공학과, 생산기계공학과, 기계설계공학과, 응용기계공학과, 기계산업공학과, 기계시스템공학과, 기계산업시스템공학과, 건설기계공학과, 자동차공학과, 자동차과, 차량기계과, 조선공학과, 선박해양공학과, 기관공학과, 로봇시스템공학과, 기계정보공학과, 항공우주공학과, 메카트로닉스과, 컴퓨터응용기계과, 정밀기계공학과

■ 관련 자격: 기계기술사, 기계설계기사/산업기사, 일반기계기사, 정밀측정산업기사/기능사, 치공구설계산업기사, 컴퓨터응용가공산업기사, 차량기술사, 그린전동자동차기사, 조선기술사/기사/산업기사, 철도차량기술사/기사/산업기사, 건설기계기술사, 건설기계설비기사/산업기사, 농업기계기사/산업기사, 메카트로닉스기사, 산업기계설비기술사, 생산자동화산업기사, 승강기기사/산업기사, 설비보전기사, 공조냉동기계기술사/기사/산업기사(이상 한국산업인력공단)

적성 및 흥미

기계공학기술자는 기계 자체에 흥미가 있어야 하며, 업무 수행 과정에서 수리력과 분석력, 논리력이 요구된다. 새로운 기술과 제품을 개발하고자 하는 열정과 창의력, 혁신 능력이 필요하다.

경력 개발

각종 기계제품 제조업체나 벤처기업, 연구소 및 정부기관 등에 취업할 수 있다. 이 외에 기계설계, 구조해석, 실험 및 측정 등을 전문으로 하는 엔지니어링회사나 기술자문 컨설팅 회사에서 일할 수도 있다. 생산관리 및 감독 업무를 하는 경우, 대리, 과장, 부장 등으로 승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연구·개발 분야에서는 연구원, 선임연구원, 책임연구원 및 수석연구원 등으로 승진한다. 경력을 쌓은 후 관련 분야의 부품회사를 운영하거나 관련 기술을 가지고 독립적인 벤처회사를 창업하기도 하며 공학 기술 부문의 컨설턴트로 활동할 수도 있다.

관련직업
  • 기계공학기술자
  • 조선공학기술자
  • 자동차공학기술자
  • 항공공학기술자
  • 메카트로닉스공학기술자
  • 건설기계공학기술자
  • 엔진기계공학기술자
  • 냉난방 및 공조공학기술자
  • 사무용기계공학기술자
  • 철도차량공학기술자
  • 로봇공학기술자
  • 지열시스템연구 및 개발자
  • 플랜트기계공학기술자
  • 기계공학시험원
관련정보처

직업전망 데이터는 워크넷(www.work.go.kr)을 통해 제공됩니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워크넷 직업/진로 정보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